국토부, 연구용역 발주…연장 우려도
|
21일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19일 6000만원 규모의 '12·29 여객기 사고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항공기 참사 후 종합적인 안전시설 강화를 추진하면서 불가피하게 공항 문을 닫게 된 것인데 구체적인 재개항 시점은 여전히 알 수 없다.
공항 운영이 장기화되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의 경기침체는 가속화되고 있다. 국토부는 현재 공항에 입점한 총 8개의 상업시설 가운데 7개업체가 무기한 휴업 중이라는 점, 지난해 12월 29일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광주·전남지역 여행업체의 계약 취소 사태가 무더기 발생해 큰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는 점 등을 언급하며 체계적인 분석과 실효성 있는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이후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정안이 4월 1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광주·전남지역 경기 활성화를 위한 특별지원 근거가 마련됐다. 하지만 올해 본격적인 지원이 가능할 지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 이번에 발주한 연구용역 기간이 6개월인데 추가 연장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연구에 나서게 될 기관은 △피해지역 경제 현황·피해 규모 분석 △국내외 재난 관련 지원 사례 분석 △지역전문가·관계부처·지자체·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맞춤형 경제활성화 방안·구체적 사업 발굴 △연구 결과 보고·정책 제언 등 5가지를 수행해야 한다.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연구 수행기간을 단축 또는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발주처인 국토부의 승인을 받아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항을 중심으로 입점업체, 운수업 등 모든 지역경제가 초토화됐다고 보면 된다"며 "계속 버틸 수 있을지 몰라도 후유증은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 수행에 필요한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구 수행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라며 "적절하다, 길다, 짧다고 얘기를 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한편, 무안공항에서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동체로 비상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 인근 둔덕형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