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첩규제 한계 넘는 '첨단산업 거점' 기대
김동근 시장 "과거와는 다른 의정부시 미래 준비 위해 지정 따내야"
|
경기도가 경기경제자유구역 지정 후보지로 의정부시를 포함해 3개 지자체를 선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시는 이제 겨우 1차 관문을 통과했는데도 이번 후보지 지정으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는 데 상당히 의미를 두는 모습이다.
이번 구역 지정과 관련 핵심 공략카드로 내세웠던 가능동, 금오동 일원 98만㎡ 부지에 미디어콘텐츠, 인공지능(AI), 바이오메디컬 등을 유치해 첨단산업단지 허브로 개발한다는 구상이 심사단으로부터 상당한 '설득력'을 확보했을 것이라는 게 시의 판단이다.
|
타 지자체와의 경쟁에서도 훨씬 우위를 보일 수 있는 이런 카드라면 탈락은 생각할 수 없다며 김동근 시장은 시종일관 최종 낙점을 자신한다.
김 시장은 '따고 싶은 지정'이 아닌 '이번 지정을 꼭 따내야 한다'는 절박한 상황임을 감추지 않는다. '걷고 싶은 도시' 등과 같은 의정부시가 의욕적으로 벌이고 있는 시책이 순항을 거듭하면서 복지 선도도시로의 진입을 눈 앞에 뒀듯이 이번 지정도 순항하리라는 속내를 내비치고 있다.
◇의정부시 경제자유구역 추진은 왜?
의정부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상 '과밀억제권역으로 도시의 70%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중첩규제로 인한 도시 자족성이 결여돼 경기북부 대표도시 임에도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경기도 최하위 수준에 머물렀다.
또 수도권도권·군사규제 등에 따른 경기북부에 대한 지속적인 국가 정책 소외로 인해 경기남부와 생산성 격차가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 5년 간 경기남부 지역내 GRDP는 17.3% 증가한 반면 각종 산업육성정책에서 배제된 경기 동북부 가평군, 구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포천시 지역은 10.6% 증가에 그쳤다.
이처럼 안보의 희생으로 지역이 70여 년간 정체되다 보니 이를 단숨에 날려버리기 위한 방안으로 시는 '경제자유구역 카드'를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시 경쟁력, 후보지 지정 경쟁에서도 통했다"
의정부시가 경제자유구역 부지로 내세운 미군 반환 공여지는 서울과 인접해 있으면서도 넓은 가용 부지를 갖춘 수도권에서 보기 드문 입지로 꼽히고 있다. 광역철도(GTX-C 및 1·7·8호선 연장), 외곽순환도로, 수도권제2순환도로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수도권 북부 교통허브 도시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의정부에선 서울 등 수도권의 주요 산업과 연결망을 이루는 연계형 산업벨트 구축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
미디어·콘텐츠, 바이오 등 핵심전략 산업 유치 적임지로 의정부시가 거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의정부시의 도시인프라를 활용한 전략산업군 선정과 발전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돼 후보지로 지정되지 않았겠느냐는 게 시측의 귀뜸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뭐가 달라지나
|
무엇보다 우량 기업 유치가 러시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 시가 그토록 갈망하던 첨단산업 유치는 물론 외국인 투자도 활성화될 것이란 예상이다.
이럴 경우 의정부에는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고 시민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와 교육, 문화까지 모두 삶의 질이 함께 나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것으로 점쳐진다. 일자리를 찾아 도시를 떠나는 게 아니라 의정부 안에서 살고, 일하고, 꿈꿀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는 셈이다.
의정부 하면 '군사도시'라는 꼬리표를 떼고 경기북부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와는 다른 의정부시의 미래가 준비하는 기반으로 '경제자유구역 카드'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는 게 시의 확고한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