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어차피 손님들 못 들어올 테고”… 헌재 인근 상점 문 다 닫았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biz.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4010002398

글자크기

닫기

손영은 기자

승인 : 2025. 04. 03. 17:44

경찰, 헌재 주변 150m '진공상태화'
폴리스라인으로 골목 등 통행 불가
상점 대부분 휴업·운영 시간 단축
"선고 후 신속히 일상 되찾길 희망"
[포토]4월 4일 헌재 주변 상가 휴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식당, 전시관, 병원 등이 탄핵선고 당일 휴무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박성일 기자
"어차피 손님들도 못 들어올 텐데요."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헌재) 앞에서 13년째 상점을 운영 중인 김모씨(42)는 "선고기일에는 영업 안 하려고 한다"며 "어차피 손님들도 못 들어올 테고, 일 봐주시는 분한테도 나오지 말라고 그랬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하루 앞둔 3일 오전 9시께 경찰이 '을호비상'을 발령한 가운데 헌재 주변의 긴장감은 한층 더 고조됐다. 경찰은 헌재 반경 150m를 이른바 '진공 상태'로 만들고 주변의 경비 보안을 더욱 강화했다. 헌재로 들어가는 길목은 통행이 제한됐고, 골목은 폴리스 라인과 방벽으로 막혀 통행이 불가했다.

진공 상태를 만들겠다는 경찰 방침에도 불구하고 헌재 곳곳에서는 1인 시위자들이 남아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헌재 앞 전봇대에는 "(선고일인) 4일 헌재 앞의 목소리가 결과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며 당일에 헌재 부근에서 머무르지 말 것을 권고하는 익명의 입장문이 붙기도 했다.

안국역 4번 출구 앞에는 '탄핵 선고 관련 헌법재판소 시설보호 및 인파 밀집 우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경찰의 통행 안내에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적힌 종로경찰서의 통행 안내문이 놓여있었다. 안국역의 2번과 3번 출구의 출입문은 출입금지 테이프 뒤로 굳게 닫혀 있었다.

탄핵선고 D-1, 헌재 앞 식당 휴업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부근 한 음식점이 임시휴업하고 있다. /연합
헌재 인근 상점 대부분은 선고 당일 임시 휴업을 가지거나 운영 시간을 단축할 예정이다.

재동초등학교 인근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이모씨(57·여)는 "영업을 고민 중이었는데 뉴스 보니 경찰이 캡사이신 사용도 검토하고 있다더라"며 "그날은 문 열지 않으려고 한다"고 했다. 안국역 부근에서 14년째 가게를 운영 중인 한 상인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정상 운영했는데 운영 시간을 단축하는 건 처음"이라며 "알바생도 나오지 말라고 했다. 평소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데 출근은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헌재 인근 북촌로의 한 문구 상점 문 앞에는 '탄핵 심판 선고로 인한 혼잡이 예상돼 3일, 4일 쉬어갑니다.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안내가 적혀있다. 안국역 부근의 한 제과점 문 앞에도 '안국역 주변 상황으로 인해 4/3~4/4 임시휴업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4/5일부터 정상운영 합니다'라는 공지가 붙었다.

탄핵선고 D-1, 헌재 앞 주유소 휴업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의 한 주유소가 임시휴업하고 있다. /연합
인근 상점과 식당뿐 아니라 헌재 주변 기업들도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권고했다. 헌재 인근 현대건설은 선고 당일 전 직원 재택근무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GS건설 광화문 본사 또한 선고 당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재택근무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탄핵 정국으로 긴 시간 고충을 겪은 헌재 주변 상인들은 선고 후 빠르게 일상을 되찾길 하는 바람이다. 헌재 앞에서 13년째 상점을 운영하는 김모씨(42)는 "선고 결과가 어떻게 되는 승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다"며 "선고 이후에는 헌재 앞도 다시 조용해지고 관광객들이 돌아와 일상을 되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경찰청과 서울경찰청에 '을호비상'을, 이 외 지방경찰청에는 '병호비상'을 발령했다. 선고 당일에는 전국 경찰관서에 '갑호비상'을 발령해 경찰력을 100% 동원할 방침이다.
손영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