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마이크 케이시 분산형 AI 협회장이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4)'에 참석해 키노트세션에서 신뢰 회복과 대형 플랫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선 향후 AI와의 접목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AI와 블록체인은 다른 기술이지만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며 "디지털시대에서는 데이터가 나이기 때문에 AI 경제에선 완전히 다른 구조를 생각해야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앞서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정부의 문제를 두고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뢰 회복을 위해선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이 여러 주기를 거치며 많은 변화와 혁신을 이뤘다"며 "그동안 시장 자본도 축적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기술이 단순한 혁신을 넘어 금융 및 통치 구조 중심을 변화시키고 있다"며 "'신뢰'를 건드렸기 때문에 혼란과 변동성이 뒤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를 중차된 시기로 봤다. 그는 "향후 블록체인과 AI의 융합이 대표적인 활용 사례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며 "스스로 데이터 소유하고 제어하며 집단으로서 시스템을 소유하고 정보 신뢰성을 증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기관이나 중개 기관에 대한 우리의 의존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현재 AI, 웨어러블, IoT, 블록체인, 디핀 서비스 등이 융합되며 등장하고 있다. 우리는 스스로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데이터 소유권과 자기 참여 권한을 스스로 가질 것인지, 대형 플랫폼에 의존할 것인지 답을 찾아야할 때"라고 말했다.
케이시는 "블록체인을 토큰화 함으로써 소유권을 넓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며 "AI 경제에서는 내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내 데이터가 어디로 갔는지 추적할 수 있는 것과 내 데이터가 어느 게 어디로 가는지 어느 모델로 들어가는지, 그리고 이게 정말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용이 되고 발전이 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AI시대에는 결제 방식도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그는 "AI 시대에 결제 방식은 AI이기 때문에 굉장히 더 빠른 속도로 거래를 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와 관련해서는 투명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