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북한에 지나치게 방점, 글로벌 외교 실종"
"한미관계 토대, 전 세계 외교 확대"
대중관계 재조정, 대일관계 복원
북한 주적...WP "문재인 유산과 결별"
|
윤 당선인은 14일(현지시간) 보도된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현 정부가 북한과의 관계에만 지나치게 방점을 두고 실종됐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글로벌 외교에는 상당히 미흡했다”며 “한국과 미국은 공식적으로는 관계를 유지했지만 군사 및 정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실질적이고 친밀한 논의가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따라서 우리는 북한과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한·미 관계를 토대로 유럽연합(EU)·아시아 전역으로 외교의 폭을 넓혀야 한다”며 한국이 세계 10위 경제권의 하나로서 책임 이행에 있어 더 큰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은 북한을 주적으로 분류하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및 핵실험 유예(모라토리엄) 철회에 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북한과 미국의 핵 협상 중재라는 문재인 대통령 유산과의 결별로 표시되는 입장이라고 WP는 평가했다.
다만 윤 당선인은 남북한이 같은 민족이라며 북한에 대해 대화와 인도적 지원을 추진하는 ‘투트랙’ 대응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은 한·중 관계와 관련, 한국이 중국에 관해 더 강력한 정치적 태도를 취하려면 미국과 군사동맹에 기대야 한다며 한국의 대중국 경제 의존이 일방통행이 아니라 중국도 한국에 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아시아·태평양에서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 결성된 미국·일본·호주·인도 등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 가입을 추진할지 결정하기 전에 한국이 백신 유통과 기후변화 같은 글로벌 이슈를 다루는 실무그룹을 지원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현행 한·일 관계에 대해 한국의 기업과 일본 여행을 좋아하는 일반 한국인에게 역효과를 냈고, 일본·미국과 조율할 한국의 능력에 지장을 줬다며 일본 당국자와 빈번한 대화·방문을 통해 신뢰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과의 관계 약화가 한·미·일 협력의 아킬레스건이라면서 한·일 관계가 잘 풀릴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윤 당선인은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의 한국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이 더 많은 해외 개발원조 제공 등 더 많은 책임을 떠안을 필요가 있다는 뜻이라고 WP는 해석했다.
그는 한국이 국제사회로부터 더 많은 참여를 요청받을 때 규칙에 기초한 국제질서에 대한 존중의 태도를 단호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 연장선에서 윤 당선인은 현 정부가 일정한 범위에서 하고 있는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에 한국이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으로서 롤모델로 연방주의 수호자인 에이브러햄 링컨 전 미국 대통령의 유산,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매력과 시민권 유산을 꼽았다고 WP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