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과거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입장을 밝히는 데 평균 3개월이 소요됐는데 이번에는 (북한 도발 후) 약 한 달만에 중국이 결의안 채택에 합의했다”며 “북한의 28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기준으로 하면 약 일주일 만에 대북 제재안에 중국과 러시아가 합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중국과 러시아 역시 북한 문제를 굉장히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결의안”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제재안 역시 북한 김정은 정권의 숨통을 끊어 놓을 것으로 평가받는 북한으로의 원유 수출 금지가 제외 돼 실효성 논란을 낳고있는 데 대해 “그런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결과적으로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빠른 시일 안에 합의를 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는 5일(한국시간 6일 새벽) 북한의 석탄, 철광석, 수산물 등 연간 북한 수출액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수출품을 전면 금지하는 새 대북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