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외교장관 간 대면 회담이 성사된다면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 이후 약 6개월 만이고, 외교부 장관의 중국 방문은 2022년 8월 한-중 수교 60주년 계기로 박진 전 장관이 산둥성 칭다오를 방문한 이후 약 1년9개월 만이다.
6일 외교가에 따르면 정부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 2월 한·중 외교장관 통화 당시 조 장관의 방중을 초청한 이후 관련 일정 및 의제 등을 협의했다.
외교부 당국자도 "한-중 양국은 그간 고위급 교류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긴밀히 소통해왔다"며 "(조 장관과 왕이 부장 회담은) 현재 구체적 일정을 협의하고 있는 단계"라고 언급했다.
정부가 중국 고위 당국자 간 만남을 서두르는 요인은 다음달 26~27일 최종 조율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전 조 장관이 중국을 찾는 게 시기상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5월 한 달 사이 한·중 외교장관회의에 이어 정상급 소통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올해 3월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4월 한국 총선 등 양국의 국내 정치 일정이 마무리돼 관계 논의를 본격화할 여건이 마련됐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중 간 고위급 소통도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동력을 잃었던 양국 관계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 장관도 지난달 12일 주한 대사들 상대 강연에서 "머지않아 중국 카운터파트(왕 부장)와도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국 외교장관의 정식 베이징 방문은 2017년 11월 강경화 전 장관이 최근 사례로, 당시 왕 부장과 북한의 도발 중단 등 안정적인 한반도 상황 관리를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2008년부터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의장국을 번갈아 맡으며 연례적으로 개최해 왔다. 그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 등의 영향으로 2019년 중국 청두 회의를 끝으로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