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에 등록된 이산가족 13만3983명 가운데 사망자는 9만 4102명으로 집계됐다. 생존자는 10월 말 4만99명에서 지난달 말 3만9천881명으로 줄어 4만명 대가 무너졌다.
또 남북관계 경색으로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약 5년 동안 1만8000여 명이 상봉을 기다리다 숨진것으로 확인됐다. 분단 70년을 넘기며 이산가족 문제가 시급하지만,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 남북관계는 여전히 제자리를 보이고 있다.
생존 이산가족도 대부분 80·90대 고령이다. 지난달 말 생존 이산가족 중 90세 이상이 1만 1082명이고, 80대가 1만4331명으로 80대 이상이 약66%에 달했다. 80세 미만 상봉 신청자는 대부분 이산가족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그간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남북 고향방문단과 2000년 이후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통해 실시돼 2018년 8월까지 총 22회 열렸다.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후 한반도 정세가 급랭하며 중단됐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정찰위성 발사 등으로 당분간 재개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두고 권영세 당시 통일부 장관을 통해 이산가족 해결을 위한 회담을 제안했으나 북측이 호응하지 않아 무산됐다. 정부는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회담 제안은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올 3월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추석 전전날인 음력 8월13일을 이산가족의 날로 지정했다. 올해의 경우 9월27일이 이산가족의 날이었다. 통일부는 고령화하는 이산가족 실태와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5년 주기 실태조사를 2년 앞당겨 내년에 진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