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특별담화를 발표하고 애도를 표하며 현장을 방문해 사태 수습을 지휘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정부는 11월 5일까지 국가 애도 기간으로 정하고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 장례와 부상자 치료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사고수습본부가 가동됐는데 정부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의 행사는 잠정 중단됐다.
사고가 나자 시민들이 심폐소생술(CPR)을 해서 구조를 도운 것과 달리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도 있었다. 소방대원이 CPR을 하는데 옆에서 술 마시고 춤추는 모습도 보였다. 구조작업 중에 인근 식당이나 주점이 영업을 하거나 일부 업소는 사람들이 업소로 피신하는 것을 막았다는 얘기도 들린다. 위기 상황에 사적인 이익을 취한 것은 용납될 일이 아니다.
경찰은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해야 한다. 일단 넘어진 게 원인으로 알려졌는데 실수인지 아닌지 밝혀야 한다. 왜 갑자기 인파가 몰렸는지도 살펴야 한다. 인근 주점이나 식당의 잘못은 없는지 봐야 한다. 순식간에 좁은 골목에서 생긴 일이라 원인 규명이 쉽지는 않겠지만 경찰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 발표해야 불필요한 혼란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안타깝게도 그동안 국내에는 대형 참사가 여러 번 발생해 큰 아픔을 줬다. 1993년 10월 전북 부안 인근 해역 서해 페리호 침몰(사망 292명), 1994년 10월 성수대교 붕괴(사망 32명),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망 502명),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사망 192명), 가장 최근의 2014년 4월 세월호 침몰(사망 304명) 등인데 인재와 안전 불감증에 따른 사고가 많았다.
경제도 어려운데 이태원 참사와 같은 일이 터졌다. 그나마 윤 정부가 매우 발 빠르게 수습에 나서고 있어 다행이다. 참사가 완전히 수습되려면 장례와 부상자 치료 말고도 책임 소재가 제기될 텐데 감정보다 냉정을 찾아야 한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여야 정치권은 지금까지 벌여온 불필요한 정쟁을 멈추고 국민 안전과 민생 챙기기에 나서야 할 것이다.